아래 내용은 다음 강의를 들으면서 정리한 내용으로 강사의 의도와 다르거나 개인의 의견이 추가된 부분이 있을 수 있음
https://www.youtube.com/watch?v=NOLslAPwRRo&list=PLE1Uaw0WKBCzDb5mkDg0keL9QldV9aH0Y&index=4
4편
- 손실이 나는 케이스 4가지
1. 투자전략 자체의 손실: 확률적 우위의 부족(리서치 등)
2. 무작위성으로 인한 손실 --> 분산을 통해 변동성을 최소화
3. 인지편향에서 오는 손실
4. 감정적 실패에서 오는 손실
3,4를 통해 큰 손실이 발생
-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인지오류는 크게 13가지가 있으며,
이를 범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함으로 훈련을 통해 줄이는 것이 필요
1. 알아차림 2. 투자일지
5편
- 180년을 놓고 보면 주식이 어떤 자산군 보다 크게 상승하는 것은 맞으나, 그 수 많은 기간 중에 어떤 20년인지 모르기 때문에 수익율이 낮을 수 도 있음. 또한 해당 연구는 미국 및 영국에 국한된 경우이기도 함
- 베타: 리스크를 짐으로써 얻게 되는 수익
- 알파: 본인의 실력과 노력으로 찾는 초과수익
시장이 10% 수익률일 때 주식시장에 비해 1.5배 위험한 주식 A는 20% 수익율 발생 --> 베타 15%, 알파 5%
인덱스에 100% 투자하는 전략은 베타에 100% 투자하는 전략과 동일함
알파 추구 방법은 대표적으로 개별 주식을 사는 행위(초과 수익)
개인에 따라 인덱스(베타)+ 개별주(알파)+현금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중
6편
비효율성은 초과수익의 근원
시장의 효율성은 비효율성의 믿는 사람으로 만들어진다.
- 비효율을 찾으려는 사람이 많은 시장일수록 효율적
- 비효율을 찾으려는 사람이 아예 없는 시장은, 계속 비효율적
- 시장의 효율성이라는 개념의 기준은 기술의 발전과 지식 수준 향상에 따라 변화
7편
가치투자 프로세스
- 종목탐색
- 종목조회
- 정성적 리서치
- 가치평가
- 포트폴리오 관리
초과 수익 = 나의 수익 - 시장평균 수익
Information Ratio = (Portfolio Return - Benchmark Return) / Tracking Error(벤치마크의 변동성)
Benchmark Return = 나의 투자 전략과 가장 유사한 시장의 지수 수익 / 내가 조정할 수 있는 값이 아님
Portfolio Return = 투자 수익
'암호화폐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편: 투자의 세 가지 공리: 확률의 우위, 자금의 우위, 절제의 우위 (0) | 2024.08.24 |
---|---|
루나, ‘코인은 미친 도박이다.’ Bad Thing? 그럼에도 Betting! (2) | 2022.05.16 |
NFT 커뮤니티 몰락의 3단계 (0) | 2022.05.10 |
투자(investing) vs 트레이딩(trading) 무엇이 다를까? (0) | 2021.01.29 |
기관이 들어오면 비트코인 가격은 오를까? - 비트코인 가격 전망 (0) | 2021.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