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3 인사이트, 하루 한잔 DeFi Juice

블록체인 산업

블록체인 기반 토큰증권시장 강연-일본에서의 ST비즈니스와 유럽의 최신 담보 이동(collateral mobility) 동향_SBI 홀딩스

레오(Leo) 2024. 8. 10. 17:30

아래 내용은 필자가 현장 참석하여 정리한 내용이며, 발표자의 의도와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음.

 

 1. 서론

 

본 보고서는 SBI 홀딩스의 블록체인 추진 부서장이자 SBI R3 Japan의 CEO인 Mamoru Fujimoto의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일본의 Security Token (ST) 비즈니스 진행 상황과 유럽의 최신 담보 모빌리티 동향에 대해 다룹니다.

 

 2. 일본의 ST 비즈니스 진행 상황

 

 2.1 ST 발행의 꾸준한 증가

 

- 총 ST 발행액이 1,300억 엔을 초과하며 계속 증가 중입니다.

- 대부분이 부동산 담보 ST입니다.

- 2019년부터 2024년까지의 ST 발행 추이를 보면, 특히 2023년부터 발행액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2.2 2차 시장 ODX  START의 출범

 

- ODX START(ST 2차 시장)가 2023년 12월에 출범했습니다.

*ODX 전까지는 2차 거래가 불가했음

- 현재까지 3개의 새로 발행된 ST가 상장되었습니다.

- 거래량은 아직 낮은 수준이며, 기초 자산의 특성으로 인해 가격 변동성이 낮습니다.

- ODX(Osaka Digital Exchange)는 SBI, SMFG, Nomura, Daiwa가 공동 설립한 PTS(Proprietary Trading System)이며, 최근 Cboe, Virtu, Optiver가 주주로 참여했습니다.

 

 2.3 비즈니스 확장의 잠재적 과제

 

1. 기초 자산 유형 확대

   - 기업 채권 ST 발행이 증가하고 있으며, 로열티 포인트나 유틸리티 토큰(UT) 등의 혜택이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 그린 에너지 발전소, 사모펀드, 영화 펀드 등 다양한 기초 자산으로의 확대가 필요하지만, 세금 처리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2. 암호화폐 시장과의 연계 고려

   - 미국과 유럽에서 이미 진행 중인 퍼블릭 블록체인 활용을 고려해야 하지만, AML/KYC 및 사이버 보안 문제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 ST와 스테이블코인, 암호자산의 원활한 교환은 암호화폐 투자자 수 확대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암호화폐 지갑 보안이 필수적입니다.

 

 3. 유럽의 최신 담보 모빌리티 동향

 

3.1. 글로벌 자본 시장에서의 DLT 영향

 

GFMA(Global Financial Markets Association)는 Boston Consulting Group, Clifford Chance, Caravath와 함께 DLT가 글로벌 자본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두 가지 구현 모델을 제시합니다:

 

a) Books and Records

b) Tokenization

 

또한, DLT 기반 증권은 두 가지 형식으로 존재합니다:

1) Tokenized Securities(중앙기관이 관리하는 케이스로 생각하면 됨)

2) Security Tokens

 

3.2. "Books and Records" 구현을 통한 담보 모빌리티

 

DLT 상의 "Tokenized Securities" 형식을 사용한 새로운 결제 방식인 DvD(Delivery versus Delivery)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 참가자들은 DLT 상에서 담보 관리/레포 거래에서 자산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 내부 커스터디언의 장부 기록이 업데이트됩니다.

- 전통적인 Custody 체인이나 현금 개입 없이 증권(또는 증권 바스켓)을 직접 교환할 수 있습니다.

 

3.3. 담보 모빌리티의 주요 이점

 

a) 즉각적인 결제와 거래 완결성

b) 유동성 개선

c) 운영 비용 감소

d) 거래상대방 신용 위험 감소

e) 투명성 및 규정 준수 향상

f) 수익 기회 증대

 

3.4. HQLAX 소개

 

HQLAX는 DLT 기반 Books and Records 메커니즘을 채택하고 있지만, 증권 등록 프레임워크는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주요 특징:

- 글로벌 커스터디가 신뢰할 수 있는 제3자로서 국가 간 실시간 DvD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HQLAX를 사용하면 국경 간 결제의 신용 위험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이는 커스터디에 머물러 있는 대량의 자산을 동원할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

*화폐를 취급하지 않고 증권 스왑만 담당하는 레이어

 

3.5. 사례 연구: Goldman Sachs와 HQLAX

 

- HQLAX는 2019년 12월에 출시되었습니다.

- 2022년 7월, BNY Mellon과 Goldman Sachs는 HQLAX를 통해 최초의 에이전시 증권 대여 거래를 성사시켰습니다.

- 2022년 12월, Fnality와 함께 최초의 크로스체인 레포 스왑 파일럿을 시연했습니다.

 

3.6.결론:

유럽의 최신 담보 모빌리티 동향은 DLT 기술을 활용하여 자본 시장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HQLAX와 같은 플랫폼의 도입으로 국경 간 거래의 위험이 감소하고, 자산의 유동성이 증가하며, 운영 비용이 절감되는 등 다양한 이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글로벌 금융 시장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결론

 

일본의 ST 비즈니스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2차 시장의 출범으로 더욱 활성화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기초 자산 다양화와 암호화폐 시장과의 연계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습니다. 한편, 유럽에서는 DLT를 활용한 담보 모빌리티 향상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자본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용어 설명

 '담보 모빌리티(collateral mobility)'는 금융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담보의 유동성 또는 이동성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1. 담보 자산의 효율적인 이동 및 교환 능력
  2. 다양한 금융 거래에서 담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
  3. 국경을 넘어 담보를 이동시키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이 보고서에서는 DLT(분산원장기술)를 활용하여 담보 자산의 이동과 교환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특히 HQLAX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국경 간 담보 거래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방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맥락에서 '모빌리티'는 금융 자산, 특히 담보의 유동성과 효율적인 이동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