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장표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2024 EthCC의 Arbitrum Day에서 비탈릭 부테린이 발표한 장표 중 하나입니다.
비탈릭이 위 장표와 함께 설명한 내용을 바탕으로 아비트럼을 중심으로 L2 분류법을 작성했습니다.
1. 이더리움의 미래를 그리는 Layer 2 솔루션: 혁신적인 분류법 소개
"An L2 classification" 다이어그램은 Layer 2 솔루션들을 세 가지 주요 특성에 따라 분류합니다.
1. App-specific: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솔루션
2. EVM-purist: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과의 높은 호환성을 유지하는 솔루션
3. Experimental: 혁신적이지만 아직 실험 단계에 있는 솔루션
이 삼각형 다이어그램은 또한 프리즘 구조를 통해 'Decentralized'와 'Server' 축을 추가하여 각 솔루션의 중앙화 정도를 표현합니다.
2. 주요 Layer 2 솔루션들의 위치
다이어그램에서 눈에 띄는 몇 가지 솔루션들을 살펴보겠습니다:
- ZK-SNARK proof of solvency: App-specific 꼭지점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여 매우 특화된 용도로 사용됨을 알 수 있습니다.
- Intmax: App-specific과 Experimental 사이에 위치하여 혁신적이면서도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특성을 보여줍니다.
- Arbitrum Nova: 삼각형의 중앙에 위치하며 Server 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습니다.
- Arbitrum One: EVM-purist에 가깝고 Decentralized 쪽으로 치우쳐 있어, 높은 EVM 호환성과 분산화 특성을 강조합니다.
- Taiko: EVM-purist 꼭지점에 정확히 위치하여 가장 EVM과 유사한 구현을 목표로 함을 알 수 있습니다.
3. Arbitrum Nova vs Arbitrum One: 같은 가족, 다른 특성
특히 흥미로운 점은 Arbitrum Nova와 Arbitrum One의 위치 차이입니다. 둘 다 Arbitrum 제품군이지만, 그 특성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 Arbitrum Nova는 중앙에 위치하며 Server 쪽으로 치우쳐 있어, 더 중앙화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성능이 필요한 게임이나 소셜 dApp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 Arbitrum One은 EVM-purist에 가깝고 Decentralized 쪽으로 치우쳐 있어, 더 높은 EVM 호환성과 분산화 수준을 제공합니다. 이는 보안과 탈중앙화를 중시하는 DeFi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일 수 있습니다.
*Arbitrum Nova가 TVL이 낮고 사용률이 저조한 가장 핵심적인 이유 3가지
- 높은 중앙화 수준: Arbitrum Nova는 Data Availability Committee (DAC) 모델을 사용하여 더 빠르고 저렴한 거래를 제공하지만, 이로 인해 중앙화 수준이 높아집니다. 이는 탈중앙화와 보안을 중요시하는 DeFi 프로젝트와 사용자들에게 덜 매력적으로 작용합니다.
- 제한된 사용 사례: Arbitrum Nova는 주로 게임과 소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DeFi, NFT 거래, 기타 금융 서비스 등 광범위한 블록체인 사용 사례를 커버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잠재적 사용자 기반을 제한합니다.
- 낮은 인지도와 생태계 지원: Arbitrum Nova는 Arbitrum One에 비해 인지도가 낮고, 중앙화 거래소의 지원도 제한적입니다. 또한, 개발자 커뮤니티와 프로젝트 간 협력이 상대적으로 적어 생태계 성장이 더딥니다. 이는 새로운 프로젝트와 사용자 유입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Arbitrum Nova의 TVL과 사용률이 낮은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과거 레딧 포인트도 아비트롬 노바 위에서 구현되었던 적도 있었음. 참고 링크)
4.결론: 다양성이 만드는 혁신
이 다이어그램은 Layer 2 솔루션 생태계의 다양성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각 솔루션은 고유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개발자들이 자신의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 해결을 위한 여정은 아직 진행 중입니다. 이 혁신적인 분류법은 우리가 그 여정의 어느 지점에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디로 나아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훌륭한 지도가 될 것입니다. Layer 2 솔루션들의 지속적인 발전과 함께, 이더리움 생태계는 더욱 강력하고 유연해질 것입니다.
별첨1: Arbitrum Nova와 Arbitrum One 비교
특징 | Arbitrum Nova(TVL: $1.57m) | Arbitrum One(TVL: $2.922b) |
기술 스택 | AnyTrust 프로토콜 | Optimistic Rollup |
보안 모델 | Data Availability Committee (DAC) 활용 | 완전한 무신뢰성(trustless) |
성능과 비용 | 초저비용 거래, 높은 처리량 | 일반적인 L2 성능 개선 및 비용 절감 |
주요 용도 | 게임, 소셜 dApp 등 고성능 필요 앱 | 광범위한 DeFi 및 dApp 생태계 |
데이터 가용성 | DAC를 통해 데이터 가용성 증명만 L1에 게시 | 모든 데이터를 Ethereum L1에 게시 |
신뢰 가정 | DAC 멤버 중 최소 2명의 정직성 가정 | Ethereum의 보안 모델 상속 |
탈중앙화 수준 | 상대적으로 낮음 (Server 쪽에 가까움) | 높음 (Decentralized 쪽에 가까움) |
대상 사용자 | 초고속, 저비용 거래 필요 개발자 | 보안과 탈중앙화 중시 사용자 |
TVL 출처:
https://defillama.com/chain/Arbitrum%20Nova
https://defillama.com/chain/Arbitrum
별첨2: Taiko 소개
Taiko(링크) [코인마켓캡 $TAIKO]는 이더리움의 Layer 2 확장 솔루션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Ethereum-equivalent ZK 롤업: Taiko는 이더리움과 최대한 호환되는 Type 1 ZK-EVM(Zero-Knowledge Ethereum Virtual Machine)을 구현했습니다. 이는 기존 이더리움 애플리케이션과 도구들이 추가적인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2. Based 롤업: Taiko는 '베이스드(based) 롤업'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이는 트랜잭션 시퀀싱(순서 지정)을 이더리움 검증자들이 수행한다는 의미로, 이더리움의 활성 상태와 중립성을 그대로 상속받습니다
3. 보안 중심: Taiko는 이더리움과 동일한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려 노력합니다. 허가 없는(permissionless) 제안자/증명자 네트워크를 Day 1부터 구현하여 이더리움의 분산화 수준을 유지합니다
4. 커뮤니티 중심: Taiko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커뮤니티의 지원을 받아 개발되고 있습니다. 소스 코드는 자유롭게 사용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5. 메인넷 출시: 최근 Taiko는 7번의 테스트넷 과정을 거쳐 메인넷을 출시했습니다. 이더리움 공동 창립자 비탈릭 부테린이 첫 번째 블록을 제안했다고 합니다
6. 투자 유치: Taiko는 최근 1500만 달러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으며, 총 투자 금액은 3700만 달러에 달합니다
7. 향후 계획: Taiko는 토큰 출시, 커뮤니티 보상 프로그램 운영, DAO 설립 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프로토콜 제어권을 커뮤니티에 이양할 예정입니다
Taiko는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보안과 분산화를 유지하려는 야심찬 프로젝트입니다. 다른 Layer 2 솔루션들과의 경쟁 속에서 그 독특한 접근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별첨3: Taiko의 Based 롤업과 옵티미즘(Optimism) 롤업 비교
특징 | Taiko (Based 롤업) | 옵티미즘 롤업 |
시퀀싱 방식 | 이더리움 검증자가 트랜잭션 시퀀싱 | 중앙화된 시퀀서가 트랜잭션 시퀀싱 |
데이터 가용성 | 이더리움 L1에 모든 데이터 게시 | 이더리움 L1에 모든 데이터 게시 |
보안 모델 | 이더리움의 보안 모델 직접 상속 | 챌린지 기간 동안 사기 증명에 의존 |
검증 방식 | 다중 증명 시스템 (ZK 증명 포함 가능) | 사기 증명 (Fraud Proof) |
EVM 호환성 | 완전한 EVM 호환 (Type 1 ZK-EVM) | 완전한 EVM 호환 |
확장성 | 높음 (Based 설계로 인한 효율성) | 높음 |
출금 속도 | 상대적으로 빠름 | 챌린지 기간으로 인해 느림 (약 7일) |
커스터마이징 | 높은 구성 가능성 (ZK에서 옵티미스틱까지) | 제한적 |
탈중앙화 수준 | 매우 높음 (이더리움 수준) | 상대적으로 낮음 (중앙화된 시퀀서) |
주요 목표 | 이더리움의 속성을 유지하며 확장 | 빠른 트랜잭션과 낮은 수수료 |
Taiko는 이더리움의 보안과 탈중앙화를 더 직접적으로 상속받으면서도 높은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반면 옵티미즘 롤업은 빠른 트랜잭션 처리와 낮은 수수료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기반 토큰증권시장 강연-아세안ASEAN+3의 채권시장 혁신-디지털기술의 역할 (0) | 2024.08.10 |
---|---|
RWA 시장에서 Private Credit(사모신용) 토큰화 시장의 미래는? (0) | 2024.08.05 |
KBW 블록체인 커뮤니티 행사 준비 팁- 스폰서사를 위한 기획이 필요 (1) | 2024.06.30 |
가상자산 범죄수사 세미나 요약-블록체인법학회 (0) | 2024.06.25 |
스톡옵션이 없었던 세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Web3 강연 후기 with DixelClub) (0) | 202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