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비트코인이 많이 빠지기 시작하네?
비트가 왜 이럴까??
이런 날일수록 팔려는 사람, 사려는 사람이 많아져서 거래소 수수료 수익이 늘어날 것 같아.
주로 업비트, 빗썸, 코인원, 빗썸을 많이 사용하지?
그런데 최근에 핫한 거래소, 그것도 탈중앙화 거래소가 등장했어.
바로 UNISWAP(uniswap.org) 이야.
그럼 왜 갑자기 유니스왑이 등장해서 핫해진건지 알아보자.
유니스왑 현재 전체 DEX 시장 중에 1위, 그것도 점유율이 약 48%에 달해.
유니스왑의 등장은 2018년 데브콘 행사에서 발표됐어.
그리고 매년 V1, V2 업데이트를 거쳐서 지금의 모습으로 서비스되고 있어.
그럼 투자자들은 기존 중앙화 거래소를 사용하지 않고
왜 유니스왑을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유니스왑은 AMM이라는 거래소 유형이야.
우리가 평소에 알던 오더북 형태의 거래소가 아닌,
마켓에서 즉시 내가 거래하고자 하는 토큰의 비율을 자동으로 알려줘서 거래할 수 있어.
AMM에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있는데, 그중에 CPMM 알고리즘을 사용해.
이는 투자자들이 스스로 유동성 풀에 유동성(코인)을 공급하면
다른 투자자들이 교환하는 원리야.
위에 설명되어 있듯이 유니스왑은 중개기관이 최소화되어 있기 때문에
수수료가 굉장히 저렴해.
대신 사용을 하기 위해서는 중간 이상의 암호화폐에 대한 이해와
지갑 보관에 대한 책임을 전적으로 본인이 부담해.
또 중요한 의사결정은 커뮤니티 내에 토큰 홀더를 중심으로 내려지게 되는데,
이는 경제력에 비례해서 정치적 영향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금권정치라고 볼 수 있어.
이때 해당 코인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은 코인 생태계가 발전해야지.
자신의 코인 가치가 높아지므로 최선의 선택을 할 것이라고 볼 수 있어.
그럼 CPMM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 볼게.
유니스왑 같은 CPMM 알고리즘을 따르는 DEX는 X*Y = K 라는 식이 무척 중요해.
모든 토큰 교환 비율이 K에 맞춰서 일어나거든.
그래서 A와 B토큰 교환이 무한대로 일어나면서 최적의 비율을 유지할 수 있어.
물론 토큰 쌍마다 코인의 가치가 다르므로 비율도 모두 달라.
그럼 K라는 비율이 어떻게 계속 유지될 수 있는지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유니스왑을 처음 시작할 때 코인간 교환 비율을 설정해야겠지?
그때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참고해서 코인간 교환 비율을 설정해.
투자자들이 몇 차례 교환을 하게 되면
처음 이더리움과 오미세고 비율이 달라져, 하지만 곧 차익거래자(Arbitrage trader)가 들어와.
현재 2개의 이더리움(ETH) 가격이 100개의 오미세고(OMG) 가격에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어.
그런데 유니스왑에서는 2개 이더리움을 83.4 오미시고만 지불하면 교환할 수 있는 거야.
그럼 바로 교환을 한 후 시장에 팔아서 차익을 얻을 수 있지.
따라서 시장 가격과 약간의 가격 차이만 발생해도 차익거래자들이 다시 균형을 맞춰줘.
(위 사례에서 수수료율은 제외했어)
그럼 '교환 진행 상태'라는 유니스왑 내부 풀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유니스왑은 내부적으로 유동성을 보관하고 있어.
그런데 만약 아무런 대가도 없이
'네가 가진 코인을 우리 풀에 넣어 줄래?'라고 하면 아무도
유동성(코인)을 공급하지 않겠지?
그래서 나온 것이 UNI 코인 이야.
즉, 우리 유동성 풀에 기여한 비율만큼 유니 코인을 지급해 줄게.
이 유니코인을 가지고 있으면 Uniswap에서 거래된 거래 수수료 (0.03%)를 나누어줘.
그러자 많은 사람들이 UNI 코인을 받기 위해 유동성을 공급하기 시작했고,
유동성이 증가하니까 이용자들이 증가하고,
이용자가 증가하니까 수수료 수익이 올라가고,
수수료 수익은 UNI 코인 홀더들에게 돌아가서
결국 UNI 코인 가격이 상승하게 됐어.
성공적인 모델 덕분에 스시스왑과 같은 동일한 모델의 경쟁 DEX가 출현하기도 했어.
이런 것이 가능한 이유는 블록체인은 기본적으로 모두 오픈소스여서
누구나 코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야.
하지만 원조 유니스왑을 뛰어넘지는 못하고 있어.
그만큼 유니스왑에서 좋은 커뮤니티와 좋은 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지.
유니스왑의 2021년 3번째 업데이트 V3가 기대돼.
그럼 다음에 만나~
참조
https://www.consume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145
https://www.youtube.com/watch?v=Sl38rkv6jG8
https://duneanalytics.com/hagaetc/dex-metrics
https://sohwak.tistory.com/entry/defi-studying-2-how-amm-determine-the-price
https://sohwak.tistory.com/entry/defi-studying-3-impermanent-loss
https://brunch.co.kr/@delight412/263
https://kr.beincrypto.com/learn-kr/34/
https://www.youtube.com/watch?v=CU7ZKnDqhUA
https://duneanalytics.com/queries/4319/8411
최대한 쉽게 블록체인에 대해 풀어내기 위해 편한 어투를 사용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비즈니스 및 기타 문의: defilabs9@gmail.com
'디파이(DeFi)'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Fi계의 뱅크샐러드 아니 토스, Zapper! - 1편(feat. 디파이계의 혁신) (2) | 2021.01.31 |
---|---|
암호화폐 커스터디를 시작하는 은행의 큰 그림 (Feat. 떡상 가즈아) (0) | 2021.01.24 |
De-Fi 파생상품 1위 신세틱스 - 파생상품(derivatives) 편 (2) | 2021.01.20 |
암호화폐로 이자를 받자 – 스테이킹(staking) 편 (0) | 2021.01.17 |
은행 없이도 대출이 된다구? -담보대출(lending) 편 (0) | 2021.01.16 |